본문 바로가기
미술수업

창의미술과 그림책 인지행동 미술교육의 만남, 무엇이 다른가

by lks1863 2025. 10. 24.
반응형

미술교육 전공자의 시선에서 본 창의성의 본질과 교육적 전환

1. 창의성, 엉뚱함이 아닌 ‘논리적 해결력의 예술’

창의성은 흔히 ‘자유분방함’이나 ‘엉뚱한 발상’으로 오해되곤 합니다. 그러나 교육학적 관점에서 창의성은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를 새롭게 해결하는 능력입니다.

Guilford(1950)는 창의성을 인지적 능력으로 보고, 그 핵심 요소로 유창성(fluency), 융통성(flexibility), 독창성(originality), 정교성(elaboration), 민감성(sensitivity)을 제시했습니다. Torrance(1966)는 창의성을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해나가는 과정”으로 보았으며, Taylor(1961)는 성취·인내·반성적 태도와 같은 정의적 특성까지 포함된 폭넓은 개념으로 설명했습니다.

“창의성이란 예민하고 열린 태도로 문제에 접근하여 새로운 해결책을 만들어내는 사고능력이다.” (팽영일, 2010)

2. 영역-일반과 영역-특수, 미술교육의 균형 문제

창의성은 ‘영역-일반적 창의성’‘영역-특수적 창의성’으로 구분됩니다.

  • 영역-일반적 창의성: 어떤 분야에도 적용 가능한 사고력과 태도 (예: 융통성, 상상력, 문제해결력)
  • 영역-특수적 창의성: 미술·음악·과학 등 특정 영역 내에서 발휘되는 전문적 창의성

미술교육은 전통적으로 후자인 ‘영역-특수 창의성’에 치중해 왔습니다. “얼마나 독창적인 작품을 만들었는가”, “어떤 재료로 표현했는가” 같은 결과 중심 평가가 강조되어 왔죠. 그러나 대학원에서 배운 것처럼, 창의성은 특수 영역에만 머물러서는 안 됩니다. 아이들이 미술활동을 통해 일상 속 문제를 민감하게 느끼고, 논리적으로 탐구하며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영역-일반적 창의성’, 즉 ‘삶을 살아가는 창의성’입니다.

3. 유아기 창의적 탐구영역의 본질

유아교육의 창의적 탐구영역은 “유아들이 일상생활을 통하여 직면하게 되는 상황들을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다양하고 독특하게 생각하여 여러 가지 문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의 신장”에 초점을 둡니다. 이 정의는 단순한 예술적 표현을 넘어, 탐구적 사고·감정이입·문제 해결을 통합한 전인적 사고를 뜻합니다.

4. 창의성의 구성요인: 생각의 폭과 깊이를 키우는 다섯 축

구성요인 의미 미술교육에서의 적용
유창성 가능한 많은 아이디어를 빠르게 산출하는 능력 다양한 재료·색·형태를 실험하며 아이디어 확장
융통성 고정된 사고 틀을 깨고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는 능력 같은 주제라도 다른 시점·구도로 표현
독창성 기존의 틀을 벗어나 자기만의 아이디어를 창조하는 능력 자신만의 상징, 표현양식 개발
정교성 처음 제시된 아이디어를 다듬고 구체화하는 능력 작품 완성도, 세부 묘사 발전
상상력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행동이나 상황을 구상하는 능력 가상의 공간·미래·감정 표현 활동

5. 듀이의 프로젝트 접근법과 창의적 탐구

존 듀이(John Dewey)는 학습을 ‘경험을 통한 탐구 과정’으로 보았습니다. 그의 프로젝트 접근법(Project Approach)은 유아가 실제 문제를 논리적으로 탐색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중심에 둡니다.

  • 주제를 스스로 선택하고
  • 자료를 조사하며
  • 협동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경험

이러한 탐구 과정이 곧 창의성 발달의 핵심입니다. 즉, 미술활동도 ‘예쁜 결과물’이 목적이 아니라, 탐구–해결–표현이 하나의 흐름으로 이어지는 프로젝트형 학습이 되어야 합니다.

6. 복지현장에서 본 창의성: 말보다 그림이 앞선 아이들

복지시설에서 근무하며 느낀 것은, 많은 아이들이 감정을 말로 표현하지 못한다는 점이었습니다. “괜찮아요.”라고 말하지만 그림 속에는 분노와 두려움이 담겨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미술치료적 접근을 ‘교육적 맥락’으로 옮겨, 그림책 인지행동 미술교육을 시도했습니다. 그림책 속 이야기를 함께 읽고, 등장인물의 감정을 그려보며 아이 스스로 생각을 재구성하도록 돕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아이들은 감정–사고–행동을 연결하고,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7. 그림책 인지행동 미술교육과 창의성의 융합

그림책 인지행동 미술교육은 미술치료와 인지행동치료의 융합을 넘어, 창의성 교육의 실제적 확장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인지적 측면: 이야기 속 사고 전환을 통해 문제해결력 향상
  • 정서적 측면: 감정의 시각화를 통해 자기조절 능력 강화
  • 창의적 측면: 이야기와 그림을 연결하며 융통성과 독창성 향상

 

8. 그림책 인지행동 미술교육과 창의성의 융합

이번 활동은 교사가 직접 아이디어 스케치를 통해 창의성 미술교육의 전개 방향을 탐색한 사례입니다.
‘Moon All Donuts(M.A.D.)’라는 문구에서 출발해, 언어적 발상과 시각적 상징을 결합한 실험적 구성을 시도했습니다.
달(Moon), 모든 것(All), 도넛(Donuts)을 조합하여 단어의 리듬감과 시각 이미지를 연결하는 창의적 구상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 아이디어 스케치 과정

  1. 아이디어 스케치 과정다음 단계에서는 문장을 이미지로 전환했습니다.
    M.A.D.라는 문자와 달의 형태를 결합하여, 글자가 그림처럼 보이게 구성했습니다.
    글자의 곡선이 달의 형태와 닮아 있다는 점을 발견하면서, 단어가 이미지로 바뀌는 창의적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했습니다.
  2. 마지막으로 색과 감정을 확장했습니다.
    노랑, 빨강, 검정의 단순한 색 대비를 통해 시선을 집중시키고,
    맥도날드를 떠올리게 하는 익숙함 속에서 유희적이고 긍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이는 색채가 단순한 시각요소가 아니라 감정과 연상, 기억을 자극하는 심리적 장치로 작동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3. 첫 단계는 언어적 연상에서 출발했습니다.
    일상에서 친숙한 단어인 ‘맥도날드(McDonald’s)’의 리듬과 철자를 따서 ‘M.A.D.’로 줄이고,
    그 안에서 ‘Moon All Donuts’라는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내며 언어와 시각의 연결점을 찾았습니다.
    이것은 브랜드 언어가 새로운 창의적 사고로 전환되는 과정이자, 교사가 언어적 자극을 통해 아이디어를 시각적으로 구조화한 것입니다. 


🎨 완성 이미지와 교육적 의미

두 번째 작업에서는 달, 별, 웃는 표정, 스티커를 배치하여
‘달빛이 내려앉은 평화로운 공간’ 같은 감정적 장면을 표현했습니다.
빵집처럼 보이기도 하고, 풍경처럼 느껴지기도 하는 이 이미지는
하나의 형태가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창의적 사고 과정을 보여줍니다.

  • 인지적 측면: 언어(문장) → 이미지(형태)로의 전환을 통해 사고의 유연성 강화
  • 정서적 측면: 달·별·웃음의 상징을 통해 안정감과 긍정적 정서 자극
  • 창의적 측면: 상징과 상황을 자유롭게 재구성하며 융통성·독창성 확장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창의성을 “엉뚱하게 하는 것”, “틀을 깨는 행동”으로 오해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창의성은 엉뚱함이 아니라 기본 위에서 확장되는 사고의 힘입니다.
기초적인 관찰력, 논리적인 사고, 표현의 질서가 먼저 세워져야 그 위에 새로운 아이디어와 독창적인 시도가 의미 있게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

즉, 창의성 미술교육은 단순히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내버려두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사고 체계와 표현 원리를 기반으로 한 ‘의미 있는 자유’를 길러주는 교육이라는 것을 알고 계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